▶주식심화론
진행: 권미란
최택규(토마토투자클럽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▶ '경기 침체' 잇단 경고음...금융위기 약한 고리는 유럽?
Q. 유럽, 글로벌 금융위기의 약한 고리?
빅스텝 금리 인상 이후 경기 침체 불가피
→ 추가적 부작용으로 금융 위기 발생
유럽, 향후 금융 위기 진원지 될 가능성 높은 이유
→ '21년 여름, 북해 무풍...풍력 에너지 부족에 에너지 대란 시작
→ 러-우 전쟁, 에너지 무기화·유럽 경제 위축 및 분열 조장
→ 러시아 제재, 유럽 균열과 경기 침체 가속화
→ 전쟁 장기화, 이번 여름·겨울 혹독한 대가 가능성 존재
유럽 분열 가능성이 높은 이유
→ 단일 통화 따른 국가 간 불만(불공정)
→ 북유럽·동유럽·남유럽 모두 힘든 시기
→ 코로나 회복 전에 우-러 전쟁 피해 중심에 존재
→ 브랙시트, 영국 전혀 영향 주지 못하는 점 등
Q. 유로존, 6월 인플레이션율 사상 최고치? 현재 수준은?
유로존 19개국, CPI 5월(8.1%)·6월(8.6%)로 사상 최대치
프랑스·이탈리아·스페인 인플레이션, 역대 최고치 기록
→ 스페인 인플레이션율, 1985년 후에 처음으로 10% 돌파
미국, 6월 CPI(7월 13일 발표)가 정점일 가능성↑
→ 유럽의 물가 상승은 진행 중이라는 점이 문제
Q. 유로존 인플레의 주된 원동력은?
글로벌, 공통된 인플레 원인
→ 저금리·풍부한 유동성 이후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
→ 물류·공급 대란, 인플레이션 가속화 유발
→ 러-우 전쟁, 인플레이션 상승 촉진
Q. 독일, 31년 만에 첫 무역 적자...의미하는 바는?
1991년 이후 계속된 월별 무역흑자 기록 깨진 상황
독일의 5월 수출액, 전월 대비 0.5% 감소
→ 수입액 2.7% 증가
전쟁 따른 에너지 비용 증가(수입액 증가)
중국 봉쇄 정책 및 러시아 제재 따른 수출 감소
유럽의 맏형 격인 독일의 경제 위축
→ 유로존 공동체에 위기감 조성
Q. 유럽, 항공·철도·항만 파업...글로벌 물류난 심화?
유럽, 항공·철도·항만 파업..."설상가상"
→ '엎친 데 덮친 격'인 상황
스페인·영국·북유럽 등 유럽 항공사 직원들 잇단 파업
英 철도·獨 항만·佛 공항 등 공공 운송 업계도 동참
치솟는 물가에 "임금 인상" 한목소리
여름 휴가철 혼란 가중 및 물류난·정정 불안 우려 가중
Q. ECB 금리 인상 전망에 국채 금리 급등...국가 간 '금융 분절화'?
유럽 내 각국, 성장과 체질 상이
→ 가장 약한 고리가 단일 통화
→ 부유국과 빈곤한 나라간의 고질적 문제 될 것
유럽 금융위기의 징조
→ 독일·이탈리아·그리스 국채를 비교하면서 체크
7월 5일 기준 10년 물 국채
→ 독일 1.18% / 이탈리아 3.21% / 그리스 3.40%
독일과 이들 국가 간 국채 스프레드, 450BP 이상 벌어지면 주의
Q. ECB "유로존 분열 막기 위한 조치", 자세한 내용은?
독일, 힘든 상황에서 타국을 도와주는 것은 쉽지 않을 것
→ 어려운 국가의 만기 채권 재투자 등의 방안 모색 예상
전쟁 장기화 및 올겨울 에너지난 심화 시 유럽 금융위기 주의
Q. "인플레, 9월 더 큰 폭의 ECB 금리 인상 촉발" 유로존 경기 영향은?
유럽중앙은행, 이달 말 금리 25bp 인상 예상
9월, 이보다 더 큰 금리 인상 발생할 가능성↑
→ 유로존 경기 침체 불가피
Q. 노무라 "미국과 같이 경기 침체 운명"...유럽, 하반기 경기 전망은?
미국의 경기 침체, 다른 국가에서 먼저 발생할 가능성↓
유럽, 러-우 전쟁의 빠른 종결이 제일 중요
→ 러-우 전쟁 겨울까지 장기화 가능성↑
8월, 유로화 vs 달러화 패리티 깨질 것(현재 1:1.023)
Q. 유럽 경제, 블랙스완 출연 가능성 있나?
유럽 경제, 블랙스완...가능성 매우 높은 상황
→ 대비 필요한 상황
유럽의 분열 및 경기 침체 심화 시 지금의 경기 하락은 더 길고 깊게 다가올 것
진행: 권미란
최택규(토마토투자클럽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▶ '경기 침체' 잇단 경고음...금융위기 약한 고리는 유럽?
Q. 유럽, 글로벌 금융위기의 약한 고리?
빅스텝 금리 인상 이후 경기 침체 불가피
→ 추가적 부작용으로 금융 위기 발생
유럽, 향후 금융 위기 진원지 될 가능성 높은 이유
→ '21년 여름, 북해 무풍...풍력 에너지 부족에 에너지 대란 시작
→ 러-우 전쟁, 에너지 무기화·유럽 경제 위축 및 분열 조장
→ 러시아 제재, 유럽 균열과 경기 침체 가속화
→ 전쟁 장기화, 이번 여름·겨울 혹독한 대가 가능성 존재
유럽 분열 가능성이 높은 이유
→ 단일 통화 따른 국가 간 불만(불공정)
→ 북유럽·동유럽·남유럽 모두 힘든 시기
→ 코로나 회복 전에 우-러 전쟁 피해 중심에 존재
→ 브랙시트, 영국 전혀 영향 주지 못하는 점 등
Q. 유로존, 6월 인플레이션율 사상 최고치? 현재 수준은?
유로존 19개국, CPI 5월(8.1%)·6월(8.6%)로 사상 최대치
프랑스·이탈리아·스페인 인플레이션, 역대 최고치 기록
→ 스페인 인플레이션율, 1985년 후에 처음으로 10% 돌파
미국, 6월 CPI(7월 13일 발표)가 정점일 가능성↑
→ 유럽의 물가 상승은 진행 중이라는 점이 문제
Q. 유로존 인플레의 주된 원동력은?
글로벌, 공통된 인플레 원인
→ 저금리·풍부한 유동성 이후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
→ 물류·공급 대란, 인플레이션 가속화 유발
→ 러-우 전쟁, 인플레이션 상승 촉진
Q. 독일, 31년 만에 첫 무역 적자...의미하는 바는?
1991년 이후 계속된 월별 무역흑자 기록 깨진 상황
독일의 5월 수출액, 전월 대비 0.5% 감소
→ 수입액 2.7% 증가
전쟁 따른 에너지 비용 증가(수입액 증가)
중국 봉쇄 정책 및 러시아 제재 따른 수출 감소
유럽의 맏형 격인 독일의 경제 위축
→ 유로존 공동체에 위기감 조성
Q. 유럽, 항공·철도·항만 파업...글로벌 물류난 심화?
유럽, 항공·철도·항만 파업..."설상가상"
→ '엎친 데 덮친 격'인 상황
스페인·영국·북유럽 등 유럽 항공사 직원들 잇단 파업
英 철도·獨 항만·佛 공항 등 공공 운송 업계도 동참
치솟는 물가에 "임금 인상" 한목소리
여름 휴가철 혼란 가중 및 물류난·정정 불안 우려 가중
Q. ECB 금리 인상 전망에 국채 금리 급등...국가 간 '금융 분절화'?
유럽 내 각국, 성장과 체질 상이
→ 가장 약한 고리가 단일 통화
→ 부유국과 빈곤한 나라간의 고질적 문제 될 것
유럽 금융위기의 징조
→ 독일·이탈리아·그리스 국채를 비교하면서 체크
7월 5일 기준 10년 물 국채
→ 독일 1.18% / 이탈리아 3.21% / 그리스 3.40%
독일과 이들 국가 간 국채 스프레드, 450BP 이상 벌어지면 주의
Q. ECB "유로존 분열 막기 위한 조치", 자세한 내용은?
독일, 힘든 상황에서 타국을 도와주는 것은 쉽지 않을 것
→ 어려운 국가의 만기 채권 재투자 등의 방안 모색 예상
전쟁 장기화 및 올겨울 에너지난 심화 시 유럽 금융위기 주의
Q. "인플레, 9월 더 큰 폭의 ECB 금리 인상 촉발" 유로존 경기 영향은?
유럽중앙은행, 이달 말 금리 25bp 인상 예상
9월, 이보다 더 큰 금리 인상 발생할 가능성↑
→ 유로존 경기 침체 불가피
Q. 노무라 "미국과 같이 경기 침체 운명"...유럽, 하반기 경기 전망은?
미국의 경기 침체, 다른 국가에서 먼저 발생할 가능성↓
유럽, 러-우 전쟁의 빠른 종결이 제일 중요
→ 러-우 전쟁 겨울까지 장기화 가능성↑
8월, 유로화 vs 달러화 패리티 깨질 것(현재 1:1.023)
Q. 유럽 경제, 블랙스완 출연 가능성 있나?
유럽 경제, 블랙스완...가능성 매우 높은 상황
→ 대비 필요한 상황
유럽의 분열 및 경기 침체 심화 시 지금의 경기 하락은 더 길고 깊게 다가올 것